관절의 분류(Classification)
- 해부생리/뼈대계통
- 2020. 5. 14.
관절의 분류(Classification)
우리 몸에는 뼈와 뼈 사이에서 원활한 움직임을 위해 관절들이 존재합니다.
각 관절들은 위치와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게 되는데
오늘은 이 관절들을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< 섬유 관절 >
- 연결재료는 아교 섬유가 많은 결합조직이며, 관절 공간이 없다.
- 인대결합(Syndesmosis) -> 정강 종아리 인대 결합 등
- 봉합(suture) -> 머리뼈의 관절
- 치아이틀관절(gomphosis) -> 치아와 치아 사이의 결합
< 연골관절 >
- 연결재료는 연골이며, 관절 공간이 없다.
- 척추원반(추간원반) ->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 (섬유연골)
- 두덩결합, 양쪽 두덩뼈와 두덩뼈 사이 (섬유연골)
< 윤활관절 (가동 관절) >
- 연결재료는 관절 주머니이며, 관절 공간이 있다. (운동이 자유롭다.)
1) 일축관절 (uniaxial joint) - 회전축을 하나 가지고 평면으로만 운동.
Ex ) 경첩 관절 (hinge joint) - 경첩과 같이 한 면. 굽힘과 폄 운동만 가능하다.
( 팔굽관절 / 무릎관절 / 손 및 발가락 사이 관절 / 발목관절 -> 강한 곁 인대 가짐. )
Ex ) 중쇠관절 (pivot joint) - 긴 축의 직각으로만 안쪽 돌림, 가쪽 돌림 가능
( 몸쪽, 먼쪽 노자 관절 / 정중 고리 환 축관 절 )
2) 이축관절 (biaxial joint) - 회전축을 2개 가지고 양면으로 운동 가능.
Ex ) 타원관절 (condyloid joint) - 돌림운동을 제외한 굽힘, 폄, 모음, 벌림 운동
( 노손목관절 / 고리 뒤통수 관절 / 턱관절 / 손가락 손 허리 관절 )
Ex ) 안장관절 (saddle joint) - 타원관절의 변형된 형태로, 타원 관절보다 운동이 자유롭다.
( 엄지손가락의 손목 손 허리 관절 )
3) 다축관절(multiaxial joint) - 3개의 회전축 3면으로 운동 가능하며 가장 안정된 관절.
Ex ) 절구관절 (ball and socket joint) -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운 운동이 가능.
( 어깨관절 / 엉덩관절 )
4) 무축관절 (aniaxial joint) - 미끄럼 운동 가능하며 운동이 제한된 관절이다.
Ex ) 평면 관절 (plane joint)
( 손, 발목뼈 사이 관절 / 엉덩이 엉덩관절 )
※ 윤활관절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 ※
1. 관절머리, 관절 오목을 형성하고 관절면은 관절연골로 되어 있음.
2. 2겹의 관절주머니는 윤활액이 차있는 관절 공간을 형성함. (관절 반월 X)
3. 관절주머니의 바깥 막은 섬유막, 속 막은 윤활막으로 활액을 분비함
(윤활액은 운동 중 마찰을 방지 / 관절 주머니는 연골을 보호하는 막, 연골에 영양분 공급 -> 확산 )
4. 섬유성연골로 구성된 관절원판이 있는 관절도 있음
5. 관절연골의 기능 -> 마모 방지 / 충격흡수 / 탈구 방지 / 관절의 맞춤을 원활하게 함 (관절연골은 대부분 유리 연골)
'해부생리 > 뼈대계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척추의 구조와 특징 2부 (0) | 2020.05.03 |
---|---|
척추의 구조와 특징 1부 (0) | 2020.04.24 |
뼈대계통(SKELETON)의 특징 2부 (0) | 2020.04.17 |
뼈대계통(SKELETON)의 특징 1부 (0) | 2020.04.13 |